감각통합치료

  • 감각통합은 스스로의 몸 안에서부터(내부)의 감각과 환경으로부터(외부)감각을 느끼고, 조직하고, 반응하는 것을 통해 자신과 환경을 이해하는 과정입니다. 감각통합의 과정에 이상이 있는 경우 중주신경계인 뇌는 감각신호들을 분석하고 조직화하며 연계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결과적으로 아동은 내부와 외부로부터의 감각정보에 대해 일관되고 의미있게
    반응할 수 없게 됩니다. 이런 어려움을 가진 아이들은 지나치게 민감하거나 둔감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아동의 일상생활과 기능, 행동 및 전반적인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감각통합치료는 개별아동에게 적합한 전정감각, 고유수용성감각, 촉각의 통합적인 활동을 통해 뇌를 활성화 하고 뇌의 기능이 조직화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과정이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아동이 보다 적응된 행동과 발달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감각통합이란?
  • 감각정보들의 처리 과정입니다.
  • 발달의 기반을 제공합니다.
  • 뇌와 신경계의 처리과정을 돕습니다.
  • 자발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발합니다.
  •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 행동을 조직화 합니다.
  •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키웁니다.

 

감각통합치료적용대상

  • 감각통합기능장애의 증상이 심한 아동
  • 자신의 몸을 또래만큼 적절히, 민첩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아동
  • 주변환경에서 오는 자극에 심하게 민감하거나 둔감한 아동
  • 촉각자극 및 관련활동에 민감하거나 둔감한 아동
  • 신체의 움직임, 자세가 또래에 비하여 엉성한 아동
  • 머리의 위치 변화가 있는 활동에 민감하거나 둔감한 아동
  • 하루 중 활동이나 감정에 기복이 큰 아동
  • 빨기- 삼키기-숨쉬기의 조화가 부족한 아동
  • 구강운동 능력이 부족한 아동
  • 구강장난감을 잘 가지고 놀지 못하는 아동
  • 얕은 호흡만 하는 아동
  • 눈동자가 사물을 잘 추적하지 못하는 아동
  • 자세가 나쁜 아동
  • 식사시간에 숟가락, 젓가락, 포크 등을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는 아동
  • 옷을 입고 벗는 활동을 또래만큼 잘하지 못하는 아동
  • 세수나 양치하는 것을 적절하게 하지 못하는 아동
  • 전반적인 신체의 움직임이나 도구를 사용하는 움직임이 둔한 아동
  • 필기도구를 잘 조작 하지 못하는 학령전기 아동
  • 글자의 방향이 틀리는 학령전기 및 학령기 아동
  • 너무 진하게 또는 너무 흐리게 글씨를 쓰는 아동
  • 알림장의 내용을 다 써오지 못하는 학령기 아동
  • 글자를 알아볼 수 없도록 쓰는 학령기 아동

 

영아기에서 감각통합이 어려운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

  • 감각통합기능에 어려움이 있는 아기(0-12개월)들은 다음의 증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 1. 어른에게 안기는 것을 싫어한다(안길 때 몸이 굳거나 접촉을 피하려고 허리를 활처럼 휜다.)
  • 2. 다른 아이들보다 예민하고 까다롭거나, 혹은 둔감하거나 지나치게 순하다.
  • 3. 공중에 들려지는 것을 무서워하거나 우는 등, 움직임을 무서워하고 피한다
  • 4. 손으로 장난감을 갖고 놀거나 두드리는 등의 행동이 어렵다.
  • 5. 몸, 손, 입으로 장난감을 탐색하지 않는다.
  • 6. 새로운 놀이, 장난감, 환경을 싫어한다.
  • 7. 상호작용이 어렵다.
  • 8. 옹알이가 적다.
  • 9. 몸이 쳐져있거나 근긴장도가 낮다.
  • 10. 엎드려 있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기는 시기가 짧고 기는 시기에 기는 것을 싫어한다.
  • 11. 목욕하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 12. 장난감을 쥐지 않으려고 주먹을 쥐거나, 장난감을 갖고 놀 때 손가락 끝만 사용한다.
  • 13. 빠는 것이 어렵다.
  • 14. 음식의 질감에 따라 좋고 싫음이 두드러지고, 먹기를 거부하는 정도가 심하다.
  • 15. 지나치게 활동적이고 과도하게 움직인다.
  • 16. 화가 난 다음 진정이 되거나, 평소에 잠이 드는 것이 어렵다(6개월 이후)
  • 17. 잠을 자도 약간의 소리나 변화에 잠이 깬다.
  • 18. 두 손을 함께 사용해서 장난감 놀이를 하는 것이 어렵다.
  • 19. 다양한 자극이 있는 환경, 상황을 힘들어 하거나 운다.
  • 20. 놀이를 할 때 한 자세로만 있으려고 한다.
  • 21. 균형을 잃었을 때, 넘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팔을 뻗지 않거나 반응이 없다.

 

유아기에서 감각통합이 어려운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

  • 감각통합기능에 어려움이 있는 유아들은 다음의 증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 1. 움직임이 어눌하다.
    2. 놀이나 활동을 쉽게 포기하며 “나 안해", "못해”라는 말을 매우 많이 한다.
    3. 늘 기대어 있는 편이며 무기력해 보인다. 근긴장이 낮다.
    4. 쥐는 힘의 조절이 어려워 크레용이나 장난감이 자주 부서진다.
    5. 힘이 너무 약하다.
    6. 사람이나 가구에 자주 부딪힌다.
    7. 언어의 발달이 늦다.
    8. 선 따라 그리기나 쓰기, 자르기 등의 활동을 싫어한다.
    9. 눈에 보이는 도구나 환경에 쉽게 산만해진다.
    10. 한가지 놀이나 장난감에 지나치게 집착한다.
    11. 편식이 매우 심하다.
    12. 질감에 따라 싫어하고 좋아하는 옷의 차이가 크다.
    13. 놀이터나 바깥에서의 활동을 싫어한다.
    14.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매우 싫어한다.
    15. 촉감, 소리,냄새, 맛에 매우 민감하다.
    16. 흥분하거나 화가 나면 쉽게 안정되지 않는다. 잠이 드는 것이 어렵다.

 

학령기/청소년/성인에서 감각통합이 어려운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

  • 감각통합기능에 어려움이 있는 학령기 어린이들은 다음의 증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 1. 목욕하기, 머리 빗기, 손톱깎기를 싫어하거나 힘들어한다.
    2. 촉감, 소리, 냄새, 맛에 매우 민감하다.
    3. 체육시간을 싫어하고, 체육활동을 잘 못한다.
    4. 물건, 가방 방정리를 잘 못하고, 가르쳐도 잘 되지 않는다.
    5. 새로운 활동이나 복합적인 순서가 있는 활동을 배우는 데 다른 아이들보다 오래 걸린다.
    6. 학습지를 쓰거나 빨리 기록하는 것이 어렵다.
    7. 놀이터에서 노는 것을 즐기거나 좋아하지 않는다.
    8. 움직임이 과도하거나, 침착해지는 것이 어렵다.
    9. 글자를 반대를 쓰거나, 눈으로 글을 따라보는 것이 어렵다.
    10. 자신감이 없고, 자아감이 낮다.
    11. 또래들과 어울려 노는 것을 어려워하고, 또래보다는 어른이나 더 어린아이들과 놀기를 좋아한다.
    12. 자세가 늘어지거나 쳐져 있고 기대어 있다. 근긴장도가 낮다.
    13. 잠드는 것이나 깨는 것이 어렵다.

 

  • 감각통합기능에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 성인들은 다음의 증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 1. 쉽게 화를 내고, 안정되는 것이 어렵다.
    2. 수면과 각성을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
    3. 자극(접촉, 맛, 소리, 향)에 대해 매우 민감하다.
    4. 목욕, 머리깍기, 손톱깎기를 매우 싫어한다.
    5. 힘을 지나치게 많이 주거나 지나치게 약하게 준다.
    6. 쉽게 피곤하고 사람들이나 벽, 의자에 늘 기대어 있다.
    7. 움직임이 느리다.
    8. 자주 넘어지거나 부딪히고 동작이 어눌하다.
    9. 새로운 운동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어렵다.
    10. 신체적인 활동이나 운동하는 것을 싫어한다.
    11. 또래들이 즐기는 놀이를 같이 즐기는 것이 어렵고, 친구 사귀는 것이 어렵다.
0.0088 seconds / 1,188 kbytes